본문 바로가기

개와 고양이의 가정식(homemade diet)

(11)
개와 고양이의 에너지 필요량(PER)과 BCS 모든 동물들은 에너지원을 필요로 한다. 에너지섭취량과 에너지소비량이 대등하게 될 때 평형을 이룬다. 양성평형(positive balace)은 섭취량이 소비량을 초과할 때 발생하고 음성평형(negative balance)은 소비량이 섭취량을 초과할 때 발생한다. 휴식기에너지필요량(resting energy requirement ; PER)은 대부분의 에너지소비량을 차지하며 조용히 앉아 있으면서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나타낸다. 체표면적과 체중 둘 다가 휴식기에너지필요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거기에 덧붙여, 근육활동, 스트레스,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열생산, 음식소화가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에너지필요량의 원인이 된다. 휴식기에너지필요량은 일일 에너지소비량의 대략 60%를 차지하..
고양이의 특이한 영양학적 요구량 고양이는 여러가지 특이한 영양소를 필요로 하며, 고양이의 식이는 개의 식이와 다르게 만들어저야 한다. 고양이의 식이는 고양이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 단백질을 제공해야 한다. 고양이는 다른 동물만큼 질소를 잘 보존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다른 동물보다 질소를 더 많이 공급받아야 한다. 아미노산을 대사하는 고양이의 효소활성은 다른 동물의 효소활성보다 더 크며, 저단백질 식이를 먹고 있을 때에도 효소활성은 감소하지 않는다. 과량의 아미노산이 지속적으로 파괴되어 단백질을 만들기에는 불충분한 양만 남는다. 성장하는 고양이의 경우에는 총칼로리의 18~20%정도의 단백질을 필요로 하고 성숙한 고양이의 경우에는 유지를 위해서 총칼리의 12~13%정도의 단백질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고양이..
개와 고양이 식이 영양소의 리뷰 4 - 물, 비타민, 무기물(미네랄) 물 개와 고양이의 가장 필수적인 영양소는 물이다. 개는 자기의 모든 체지방과 체단백질의 1/2을 소실해도 여전히 생존할 수 있다. 다른 영양소의 결핍증상들은 나타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하지만 물이 결핍되어 나타나는 증상들은 그렇지 않다. 개에서는 체액량의 5% 정도의 적은 양이 소실되어도 수분결핍으로 인한 임상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만약 체액량의 15%를 소실한다면, 사망할 수 있다. 항상 신선하고 좋은 품질의 물을 공급해야 한다. 평균적인 개들은 매일 체중 kg당 50에서 90ml의 물을 필요로 한다. 고양이는 개들보다 물의 부족을 더 잘 견딜 수 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고양이가 소변을 농축하고 체액량결핍을 막을 수 있는 능력이 더 큰 것에 기인한다. 고양이는 매일 체중 kg당 10~..
개와 고양이 식이 영양소 리뷰 3 - 지방 지방 식이지방은 대략 지방 1그램당 8.5kcal이 대사에너지를 제공한다. 지방의 소화능력은 전형적으로 높으며, 90%보다 높을 수 있다. 성견에서, 지방의 최소 영양학적 요구량은 식품의 5%이고 성장과 번식기의 개에서는 8%이다. 고양이에서는 지방의 최소 영양학적 요구량이 모든 생활단계에서 9%이다. 식품에 지방을 증가시킬 때, 에너지 함량은 빠르게 증가한다. 대부분의 애완동물들은 그들의 에너지 필요량을 충족시킬 정도로 먹을 것이기 때문에 지방함량이 높은 고에너지식품을 제공한다면, 전형적으로 섭취되는 음식량은 감소할 것이다. 매우 활동적인 개들, 사역견들(예, 썰매견), 수유중인 개들의 에너지필요량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지방함량이 높은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이지방은 식품의 맛, 감촉, 입맛을..
개와 고양이 식이 영양소 리뷰 2 - 탄수화물과 식이섬유 탄수화물 탄수화물은 전분(녹말), 당(sugar), 섬유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애완동물 사료의 주요한 에너지원을 제공한다. 식이성 탄수화물은 대략 탄수화물 1그램당 3.5kcal의 대사에너지를 제공한다. 애완동물의 사료에 들어 있는 탄수화물원에는 전형적으로 쌀, 옥수수, 감자,밀,콩,귀리,보리,퀴노아, 수수가 포함된다. 야채도 탄수화물원으로 고려되지만 야채에 함유된 섬유소의 양 때문에 일반적인 전분보다 소화능력이 훨씬 떨어진다. 식물에서 가장 잘 녹고 소화가 잘 되는 탄수화물은 전분과 당이다. 처리과정의 형태와 탄수화물원이 탄수화물의 소화능력을 결정한다. 개와 고양이는 쌀을 잘 소화시키지만 가공하지 않은 밀, 귀리, 감자는 거의 소화시키지 못한다. 옥수수는 쌀과 비교했을 때 소화능력이 더 떨어진..
개와 고양이 식이 영양소 리뷰(Review of Nutrient)1-단백질 단백질 단백질은 많은 기능을 한다. 단백질은 근육기능에 중요하고 콜라겐의 주요한 구조적 구성성분이고 대사반응을 촉진하는 효소이며 호르몬으로 작용한다. 또한 단백질은 혈액에서 운반물질로 작용하고 산염기균형을 조절하는데 기여한다. 여기에 덧붙여, 단백질은 면역계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백질은 21개의 다른 아미노산들로 구성되어 있고 대부분의 아미노산들은 신체에서 합성될 수 있다(비필수이미노산). 하지만 10개의 아미노산들은 신체에서 만들지 못하며 이들은 필수아미노산이라 부른다. 이 아미노산들은 음식을 통해 공급되어야 한다. 필수아미노산은 정상적인 성장이나 유지에 필요할 정도로 신체가 빠른 속도로 합성할 수 없는 아미노산들이다. 개와 고양이의 아미노산 필수아미노산 비필수아미노산 Arginine Ala..
영양소의 양 비교(건조물 기준(DM), 대사에너지 기준(ME))와 재료 선택 기준 식품에 들어 있는 영양소들은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애완동물 사료이 라벨에 붙어 있는 분석표는 급여상태를 기주으로 영양소농도를 표시한 것이다. 이 수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완제품의 영양소들을 측정해야 하고 애완동물이 다 먹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측정치에는 수분량은 고려되지 않았으며, 상당한 양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캔 제품 보다는 건사료에 영양소가 훨씬 만이 들어 있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가정식은 대게 수분함유량이 높기 때문에, 급여상태를 기준으로 했을 때 영양소들의 퍼센트는 낮게 보일 것이다. 식품을 비교하는 더 좋은 방법은 건조물(dry matter, DM)을 기준으로 영양소들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렇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식품에 든 수분량을 고려해야 한다. 이 ..
식품매개질병의 원인(곰팡이, 세균제외)과 식품매개질병의 예방 리케차(Richettsia) Neorickettsia Helminthoeca는 연어중독증을 일으키는 리체카다. 생연어는 흡충인 Nanophyetus slmincola를 함유할 수 있다. 생연어 속에 든 이 흡충을 섭취하면, 대략 일주일 후 이 흡충은 성숙해서 장의 내층에 부착한다. 그러면, 흡충 속에 든 리케차가 혈류를 침범해서 급성 감염을 초래할 수 있다. 임상증상에는 구토, 혈액성 설사, 발열, 탈수, 림프절 종대가 포함된다. 만약 감염초기에 치료하지 않는다면, 사망률이 높을 수 있다. 생체아민(Biogenic amine) 세균이 죽은 동물의 조직에 있는 아미노산을 탈가르복실화(decarbocylate)시킬 때 생체아민이 만들어진다. 생체아민에는 히스타민, 푸트레신, 카다베린이 포함된다. 히스타민은 ..
개와 고양이 가정식 식품 안전성(food safety)과 식품매개 질병의 원인(곰팡이, 세균) 미국에서는 매년 식품매개질병으로 2400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질병에 걸리고 있으며, 애완동물도 오염된 음식으로 질병에 걸릴 수 있다. 여기에는 두 가지 다른 식품매개질병이 존재한다. 식품감염(food infection)가 식중독(food toxicosis). 식품감염은 균체(bacterial cells)를 섭취해서 조지기 침범 당할 때 발생한다. 이들 균체는 복제해서 잠복기를 거친 후 임상증상을 초래한다. 잠복기는 전형적으로 12시간에서 10일이고 여기에 해당하는 예는 살모넬라(Salmonella), 대장균(E. coli), 네오리케차(Neorickettsia), 비브리오(Vibrio), 예르시니아(Yersinia), 캠필로박터(Campylobacter)에 감염되는 거시다. 식중독은 미생물독소를 함유한 ..
가정식 만들기, 조리법 평가, 가정식의 선택, 식이의 준비, 모니터링 가정식 만들기 가정식을 만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가정식을 만드는 첫 단계는 동물의 영양학적 요구량을 결정하는 것이고, 영양학적 요구량은 종, 생활단계, 해당 동물의 특별한 요구에 기초한다. 영양소조사위원회(Nutrient Reaserch Council:NRC)는 여러 종의 영양학적 요구량에 관한 책을 출간 했고 이 책에 나온 영양학적 요구량은 지침(가이드라인) 역할을 한다. 미국사료협회(AAFCO)는 개와 고양이 사료의 영양소함량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일단 바람직한 영양소의 함량을 결정했다면, 그 다음에는 적절한 양의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을 제공해줄 수 있는 재료들을 선택해야 한다. 각각의 재료들의 영양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영양소자료집을 유지해야한다. 사람용 음식재료들을 담고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