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동물들은 에너지원을 필요로 한다. 에너지섭취량과 에너지소비량이 대등하게 될 때 평형을 이룬다. 양성평형(positive balace)은 섭취량이 소비량을 초과할 때 발생하고 음성평형(negative balance)은 소비량이 섭취량을 초과할 때 발생한다. 휴식기에너지필요량(resting energy requirement ; PER)은 대부분의 에너지소비량을 차지하며 조용히 앉아 있으면서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나타낸다. 체표면적과 체중 둘 다가 휴식기에너지필요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거기에 덧붙여, 근육활동, 스트레스,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열생산, 음식소화가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에너지필요량의 원인이 된다. 휴식기에너지필요량은 일일 에너지소비량의 대략 60%를 차지하고 근육활동으로 인한 에너지소비량은 대략 30%를 차지한다. 총에너지소비량은 성별, 번식상태, 신체조성, 영양상태와 연령에 영향을 받는다.
견종에 따라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개의 정확한 에너지필요량을 계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에너지소비량은 체표면적과 체중과 관련된다. 체중과 관련된 체표면적은 개가 더 커감에 따라 감소한다. 따라서 체중과 에너지소비량 간에는 선형관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고양이는 품종 간에 크기차이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고양이의 에너지소비량을 계산하는 것은 개만큼 어렵지는 않다. 일반적으로 체중 파운드당 에너지필요량은 매우 작은 품종에서 가장 크고, 가장 큰 품종에서 가장 적다.
일일에너지 필요량의 결정
에너지는 흔히 칼로리나 킬로칼로리(kcal)의 단위로 표시된다. 1칼로리는 1그램의 물 온도를 14.5도에서 15.5도로 올리는데 필요한 열에너지의 양이다. 이 에너지양은 매우 적기 때문에 에너지필요량을 킬로칼로리로 나타낸다. 1킬로칼로리는 1000칼로리와 같다. 많은 사람들은 킬로칼로리를 Calories(대문자)로 언급하기 때문에 약간의 혼동이 존재한다.
개와 고양이의 에너지필요량을 계산하는데 이용하는 많은 공식들이 존재한다. 완벽한 공식은 없지만 선형공식이 가장 정확도가 낮다. 선형공식으로 측정하면, 매우 작은 동물의 에너지필요량은 과소평가되며, 더 큰 동물의 에너지필요량은 과대평가된다. 휴식기에너지필요량을 계산하는데 잘 적용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PER = 70 x (체중 kg)^0.75
무게의 경우, 1kg은 2.2파운드와 같다. 킬로그램으로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파운드로 체중을 측정하여 2.2로 나누면 된다. 이 기본적인 공식과 함께, 다른 생식단계, 생활단계, 활력도를 가진 개와 고양이의 에너지필요량을 평가하기 위해 다른 증배계수(multiplication factors)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에너지필요량은 추정한 것이고 개별동물에 따라 증감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 추정한 에너지필요량에 기초하여 애완동물에게 급식을 해야하고 체중이 증가하는지 아니면 감소하는지를 세밀하게 감시해야 한다. 신체상태도 감시해야 한다. 규정된 기준들에 근거하여 신체충실지수(body condition score ;BCS)를 사용함으로써 시간이 지나도 신체상태를 객관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5단계나 9단계로 신체충실지수를 나타낼 수 있다. 5단계를 사용한다면, BCS 1은 매우 야윈 동물을 나타낸다. 늑골(갈비뼈)를 덮고 있는 지방이 없어서 늑골을 쉽게 촉진하고 쉽게 볼 수 있으며 허리(abdominal tuck)가 과도하게 들어가 있는 것을 볼수 있다. BCS 2는 체중미달인 동물을 나타낸다. 늑골을 덮고 있는 지방이 매우 적어서 늑골을 쉽게 촉진할 수 있고 허리가 들어가 있다. BCS 3은 이상적인 신체상태를 나타낸다. 늑골을 촉질할 수 있고 약간의 지방이 늑골을 덮고 있지만 늑골을 쉽게 볼수 없으며 허리는 살짝 들어가 있다. BCS 4는 과체중인 동물을 나타낸다. 중등도의 지방층이 늑골을 덮고 있어서 늑골을 촉진하기가 어렵고 허리가 없고 등이 약간 넓어 보인다. BCS 5는 비만한 동물을 나타낸다. 두꺼운 지방층 아래 존재하는 늑골은 촉진하기가 대단히 어렵고 확장된 복부는 축 처져있고 허리는 오히려 볼록하고 등은 매우 넓어 보인다.
'개와 고양이의 가정식(homemade di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의 특이한 영양학적 요구량 (0) | 2023.06.21 |
---|---|
개와 고양이 식이 영양소의 리뷰 4 - 물, 비타민, 무기물(미네랄) (0) | 2023.06.21 |
개와 고양이 식이 영양소 리뷰 3 - 지방 (2) | 2023.06.17 |
개와 고양이 식이 영양소 리뷰 2 - 탄수화물과 식이섬유 (0) | 2023.06.15 |
개와 고양이 식이 영양소 리뷰(Review of Nutrient)1-단백질 (0) | 2023.06.14 |